1. 왜 2025년이 중요한가?
2025년은 한국 에너지 정책의 중요한 전환점입니다.
국제 유가 변동, 기후위기 가속화, 그리고 탄소중립 2050이라는 전 세계적인 목표가 맞물리면서,
에너지 구조 개편이 더는 미룰 수 없는 과제가 되었죠.
2025년 초, 유럽은 재생에너지 비중이 40% 이상으로 올라서며 석탄발전을 빠르게 줄였습니다.
반면 한국은 2023년 기준 약 7~8% 수준으로, OECD 평균(약 30%)에 크게 못 미쳤습니다.
이 간극을 줄이기 위해 정부는 석탄 발전 퇴출, 재생 확대, 수소경제 기반 강화라는 3대 전략을 내세웠습니다.
South Korea is vowing to shut down coal, and Australia must move quickly to seal new green trade alliance
The coal and gas bond that once served Korea and Australia must give way to a four-track partnership – in critical minerals, green hydrogen, renewable power and low-carbon manufacturing.
reneweconomy.com.au
2.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 탄소 무배출 비중 70% 시대
2025년 2월 발표된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은 향후 15년간의 전력 공급 청사진입니다.
- 탄소-무배출 전력 비중
2030년 약 53% → 2038년 약 70% - 재생에너지 목표
2030년: 태양광 55.7GW, 풍력 18.3GW
2038년: 태양광 77.2GW, 풍력 40.7GW - 발전량 변화
2023년 49.4 TWh → 2038년 약 205.7 TWh
즉, 향후 10여 년 동안 발전 인프라와 시장 구조가 완전히 재편됩니다.
전력수급기본계획 < 전력수급 < 주요사업 : 전력거래소
전력거래소
www.kpx.or.kr
3. 주요 정책 변화와 지원 제도
① 석탄 발전 단계적 폐쇄
- 2040년 전면 폐쇄 목표
- 폐지 지역에 ‘에너지 전환 지원금’과 산업 재편 프로그램 제공
② 금융지원 확대
- 신재생 설비 도입 기업에 중소 80%, 중견 65% 보조금 적용(한시 확대)
- 농가·영세 사업자 대상 저금리 융자 지원
③ PPA(전력구매계약) 확대
- 2025년 6월 기준 1.7GW 규모 계약 체결
- 대기업뿐 아니라 중견·중소기업까지 참여 가능
④ ESS(에너지저장장치) 경매제 도입
- 15년 장기 고정 계약으로 전력망 안정성 강화
- 재생에너지 간헐성 문제 완화
⑤ 바이오매스 보조금 축소
- 국영 혼소 발전 지원 종료
- 민간 전용 발전소도 10년 이상 단계적 감축
⑥ 아그리볼타익스(농촌 태양광) 확대
- 농지 활용과 발전을 동시에 달성
- 농가 소득 증대 + 에너지 자급 효과
4. 생활 속 적용 사례
가정
- 태양광 미니발전기 설치 시 보조금 지원
- 에너지효율 1등급 가전 구입 시 구매 지원금 + 전기요금 절감
- 전기차 충전요금 심야 할인제 확대
기업
- RE100 참여 시 브랜드 가치 제고 + 해외 수출 경쟁력 강화
- 장기 PPA 계약으로 안정적 전력 단가 확보
지자체
- 울산: 수소도시 시범 구축, 수소 트램·연료전지 주거단지 조성
- 전남: 해상풍력 클러스터, 지역 일자리 창출
5. 국제 비교 – 우리는 어디쯤?
- 덴마크: 재생에너지 비중 60% 이상, 해상풍력 세계 1위
- 독일: 2030년까지 80% 목표, 원전 완전 폐쇄
- 한국: 2030년 53% 목표지만 현재 속도 유지 시 OECD 중위권
→ 앞으로의 5년이 목표 달성의 성패를 가를 중요한 시기
6. 향후 전망과 과제
기술적 과제
- 재생에너지 발전 간헐성 → ESS·스마트그리드 확충 필요
- 전력망 노후화 → 송배전망 대규모 투자 필수
정책적 과제
- 정권 교체·국제정세에 따른 정책 지속성 확보
- 지역 주민 수용성 제고(특히 해상풍력·송전선로 사업)
산업 기회
- 재생에너지 관련 주식·펀드 투자 확대
- 전기차·ESS 제조업의 수출 경쟁력 강화
- 수소 생산·저장·운송 분야의 신규 시장 창출
7. 나와 우리의 선택
에너지 전환은 정부만의 과제가 아닙니다.
가정에서는 효율 높은 가전 사용, 절전 습관, 전기차·태양광 도입을,
기업은 RE100 참여와 친환경 설비 투자를 통해 변화를 앞당길 수 있습니다.
💡 여러분은 어떤 방식으로 에너지 전환에 참여하고 싶으신가요?
아래 댓글로 여러분의 생각을 공유해 주세요.
작은 아이디어도 큰 변화를 만듭니다.
2025년의 신재생에너지 정책 변화는 단순한 ‘환경 보호’의 영역을 넘어,
산업 경쟁력, 에너지 안보, 지역경제, 일자리와 직결됩니다.
지금 시작하는 변화가 10년 뒤 우리 삶의 표준이 될 것입니다.
'우리의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가을 단풍 여행 사전 준비 – 설레는 붉은빛 여정을 위해 (9) | 2025.08.13 |
---|---|
📌하루 10분, 가정에서 할 수 있는 에너지 절약 루틴 ㅡ 작은 습관이 만드는 큰 절약과 지구 지키기 (5) | 2025.08.12 |
🌍 지구를 지킨 약속, 몬트리올 의정서 이야기 (7) | 2025.08.11 |
📌민생회복지원금 2차, 제대로 챙기자! 지금부터 모든 것을 정리해드립니다 (5) | 2025.08.11 |
💰 돈이 나를 위해 일하게 하는 힘, 금융관리와 금융지식 (9) | 2025.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