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정책을 소개하는 따뜻한 집입니다 🏡
오늘은 세종시에 거주하거나 직장을 둔 20~30대 청년·직장인 분들께
몰라서 못 받는 지원금을 소개해드리려 합니다.“나도 해당될까?”라는 생각이 든다면,
정말 확인해볼 가치가 있는 지원제도들이에요!
🧾 1. [세종시] 청년월세지원
- 지원 대상: 세종시에 거주하는 만 19~34세, 부모와 별도 거주하는 무주택 청년 (청약통장 가입 필수)
- 지원 내용: 월 최대 20만 원, 24개월까지 지급
- 📅 지급 기간: 2024년 3월 ~ 2027년 12월
✔️ 신청 기간과 주의사항
항목내용
신청 가능 기간 | 2025년 2월 17일 이후부터 약 1년간 계속 가능 |
신청 경로 | 온라인(복지로 앱/홈페이지) 또는 세종시청 청년정책담당관실 방문 접수 |
자격 요건 | 보증금 5천만 원 이하, 월세 70만 원 이하 (보증금 환산액 포함 시 최대 90만 원) |
💼 2. [세종시] 청년사회진입활동비 (구직활동비 지원)
- 공식 명칭: 2025년 세종시 청년 구직활동 지원사업 (일명 ‘청년희망내일카드’)
- 지원대상:
- 세종시에 주민등록 6개월 이상 거주하는 만 19~39세 청년
- 미취업자 및 예비창업자 포함 (주 30시간 미만 근로자 포함)
- 가구 중위소득 150% 이하 (관련 링크: https://www.bizinfo.go.kr/see/seeh/selectSmesPblancView.do?pblancId=PBLN_000000000108519&utm_source=chatgpt.com)
💸 지원 내용
-
-
- 월 최대 50만 원씩, 최대 6개월 지원 (총 300만 원)
- 직접비 30만 원 (교육비, 면접비, 자격증 등)
- 간접비 20만 원 (교통비·식비 등)
- 취업 또는 창업 조기 성공 시 성공금 최대 150만 원 추가 지급
-
📅 신청 기간
-
-
- 2025년 4월 21일 ~ 4월 30일 접수 완료 (매년 공고됨)
- 4월 중순 공고 → 4월 말 접수 형태로 매년 비슷하게 운영
-
🌐 신청처
-
-
- 세종일자리경제진흥원 (세종청년희망내일센터) 온라인 접수
- 문의: ☎1533‑1934 또는 sjepa 누리집 참고
-
🏠 3. [세종시] 청년 주택임차보증금 대출이자 지원
📌 정책 개요
- 정식 명칭: 세종특별자치시 청년 주택임차보증금 이자지원사업
- 지원 대상:
- 만 19~39세 이하 무주택 청년 또는 신혼부부
- 세종시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거나 전입 예정자도 가능
💸 지원 내용 & 규모
- 대출한도: 임차보증금의 90% 범위 내 최대 1억원 또는 7천만원
- 지원 금리:
- 대출은 COFIX(6개월)+가산금리 2.3%,
- 세종시에서 최대 4.1%까지 이자 보전해줘요
- 대출 기간: 기본 2년, 최대 6년까지(2년씩 2회 연장 가능)
📌 결국 청년은 금리의 일부만 내면 되고, 세종시가 이자 부담을 크게 덜어줍니다.
🗓️ 신청 시기 & 방법
- 2025년 2월 24일 ~ 2월 28일 우선 공고된 바 있어요
- 상시 접수로 전환되어, 매월 1~10일 사이에 신청 가능하며, 40명 선착순 마감 방식
- 신청처: 세종청년희망내일센터(naver/jobaram.com)에서 온라인 또는 방문 신청
📋 신청 자격 요건 체크리스트
- 💡 나이: 만 19~39세 이하
- 💡 주택 상태: 무주택
- 💡 거주 조건: 세종시 주민등록 또는 임대차계약 후 1개월 내 전입 완료
- 💡 소득 기준:
- 대학생/취업 준비생: 본인 연소득 4,500만원 이하, 부모 합산 7,000만원 이하
- 직장인·개인사업자: 본인 연소득 4,500만원 이하
🌟 포인트 정리
- 대출 이자율의 4.1% 차감 혜택이면 이자 부담이 크게 줄어요.
- 최대 1억원 대출까지 가능, 기간은 최장 6년이니 안정적인 전세 생활이 가능합니다.
- 선착순인원이 있어요, 매달 1~10일 신청은 꼭 챙기세요!
🎓 4. [전국공통] 국민내일배움카드 (직장인용)
- 지원대상: 세종 포함 전국 재직자
- 지원내용: 직무교육, 자격증, 온라인 강의 수강료 연 최대 300만 원 지원
- 신청처: www.hrd.go.kr
✅ Tip: 세종에는 오프라인 국비과정도 있어! 지역별 검색 추천
🧾 5. [전국공통] 숨은 환급금 조회
- 내용:
- 휴면예금·보험금: payinfo.or.kr
- 국세 미환급금: hometax.go.kr
- 건강보험 환급: nhis.or.kr
✅ Tip: 직장인일수록 연말정산 후 돌려받을 돈 꽤 있음!
🧡 우리 모두 행복해져요:)
세종시는 행정도시인 만큼
청년과 직장인을 위한 복지정책이 꽤 탄탄하게 설계되어 있어요.놓치지 말고, 한 번만 확인해서
내 몫의 정책을 제대로 챙겨보시길 바랄게요.앞으로도 이 블로그에선
숨은 정부 지원금 시리즈를 계속 이어갑니다!
반응형
'우리의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험, 나도 몰랐던 내 보험.스스로 챙기는 보험 관리 습관 (3) | 2025.07.24 |
---|---|
2025년 7월 기준, 전국 청년 월세지원 총정리 (9) | 2025.07.23 |
경기도 청년이라면 놓치지 말자!진짜 도움되는 숨은 정부 지원금 정리 (10) | 2025.07.23 |
“몰라서 못 받는다?” 충청권 2030 직장인을 위한 숨은 정부 지원금 총정리 (1) | 2025.07.23 |
30대의 마지막 해, 내가 배운 것들 (5) | 2025.07.23 |